신경계 사정 및 뇌의 기능
신경계 사정
1. 의식상태 분류
(1) alert - T/P/P 지남력이 있고 내외적 자극에 합당한 반응
(2) confuse - T/P/P 지남력이 없고 집중력이 감소되고 기억력 장애가 오며 쉽게 거칠어 질 수 있다. 명령에 대해 수행이 불가능하기도 하며 환시나 환청이 있을 수 있다.
(3) lethargy - 발음, 사고과정, 운동반으잉 매우 느리고 졸리고 불분명하며 반응이 느려 환자를 깨우기 위해서는 자극의 강도가 계속 증가되어야 한다.
(4) stupor - 크고 계속적인 자극에만 깨고 운동반응도 자극에 대해 withdrawl이나 localize를 보인다.
(5) coma - 강한 자극에도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.
2. GCS의 일반적 점수의 의미와 항목
- 최저 3점, 최고 15점, 7점 이하를 coma라고 한다.
- 기록은 best 반응을 기준으로 한다.
(1) 개안반응 (eye open; 4단계)
① 4 : spontaneous
② 3 : eye open to speech
③ 2 : eye open to pain
④ 1 : none
(2) 언어반응(verbal respose; 5단계)
① 5 : oriented - TPP있음, 유창하거나 조리있게 이야기 함.
② 4 : confused - 몇 마디는 이야기 하나 TPP가 맞지 않음.
③ 3 : inappropriate words - 전체문장을 이야기 하지 못하고 몇 마디 단어만을 가끔 이야기함, 엉뚱한 대답을 함.
④ 2 : inappropriate words - 뜻이 있는 단어를 이야기 하지 못하고 신음소리만을 내는 경우
⑤ 1 : none - 언어반응이 전혀 없음.
(3) 운동반응(motor response; 6단계)
① 6 : obey command - 명령에 대한 반응
② 5 : localizing to pain - 심한 통각이 가해질 때 자신의 손을 통증을 준 부위로 움직이는 경우
③ 4 : withdrawl from pain - 통각에 대해 회피성의 굴곡 반응을 나타내는 경우
④ 3 : abnoromal flextion - flexing to pain, 안와 상부나 손톱 등에 심한 통각이 가해질 때 팔꿈치를 구부리는 움직임을 보이는 경우
⑤ 2 : abnormal extension- extending to pain. 통각자극에 대해 팔꿈치를 쭉 펴는 경우
⑥ 1 : none - 아무런 움직임 없음.
3. 소아 GCS
- 0열 선택0열 다음에 열 추가
- 1열 선택1열 다음에 열 추가
- 2열 선택2열 다음에 열 추가
- 0행 선택0행 다음에 행 추가
- 1행 선택1행 다음에 행 추가
- 2행 선택2행 다음에 행 추가
- 3행 선택3행 다음에 행 추가
- 4행 선택4행 다음에 행 추가
- 5행 선택5행 다음에 행 추가
- 6행 선택6행 다음에 행 추가
셀 전체 선택
열 너비 조절
행 높이 조절
Point | Best verbal | |
5 | 웃고 말소리를 알아들음, 목표를 수행함. 상호작용 함. | |
4 | Crying | interaction |
달래짐 | 부적절함 | |
3 | 부분적으로 발래짐 | 끙끙거림 |
2 | 달래지지 않음 | 불안함, 쉬지 못함 |
1 | 없음 | 없음 |
- 셀 병합
- 행 분할
- 열 분할
- 너비 맞춤
- 삭제
4. 인지기능 검사(cognitive skill)의 항목을 알고 설명할 수 있다.
(1) 감각성 실어증(receptive dysphasia)
- 말은 알아듣는 능력은 떨어져 있으나 본인의 의사를 이야기 할 수 있는 경우
(2) 표현성 실어증(expressive dysphasia)
- 말을 알아듣는 이해능력은 정상이나 본인이 하고 싶은 내용의 표현이 불충분한 경우
(3) 기명성 실어증(nominal dysphasia)
- 연필, 열쇠 등 매우 흔히 접하게 되는 물건의 이름을 모르는 경우
(4) 실독증(dyslexia)
- 시력장애가 없으면서 쉬운 글을 읽지 못하는 경우
(5) 필기불능증(dysgraphia)
- 우측 상지의 운동기능 이상이 없으나 평소에 쉽게 쓸 수 있는 글씨를 쓰지 못하는 경우
(6) 계산 곤란증(dysgraphia)
- 계산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“100-7”, “86-7”과 같이 “연속 7감쇄(serial 7 subtraction)를 정확히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
(7) 실인증(agnosia)
- 환자가 어떤 물건을 잘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평가 방법으로 평상시 친숙한 여러 물건 중에 “연필을 골라보시오”라고 질문한다.
5. 기억력 검사 항목
(1) 직접기억(immediate memmory)
- 몇 자리 숫자를 천천히 말해주고 잠시 후 반복해 보도록 한다. “5240”
(2) 최근기억(recent memory)
- "지금껏 어떻게 아팠는지“ , ”병원에 지내는 동안 어떠했는지“
(3) 언어성 기억(verbal memory)
- 어떤 문장이나 짧은 이야기를 환자에게 들려주고 15분 후 다시 기억해 이야기 하도록 시킨다.
(4) 시각적 기억(visual memory)
- 몇 개의 물건을 환자에게 보여주고 약 15분 후 어떤 물건들을 보았는지 기억하도록 한다.
(5) 후향성 기억상실(retrograde amnesia)
- 뇌손상을 받기 이전의 모든 기억이 상실된 경우로 집 주소, 전화번호 등을 기억하지 못한다.
(6) 사고 후 기억상실(post traumatic amnesia)
- 뇌손상을 받은 후 얼마 동안 발새된 것들에 대해 기억이 상실된 경우
6. 사고 및 문제해결 능력검사
“ 하나에 15원 하는 연필 5자루를 사면서 100원을 주었다면 얼마를 거슬러 받느냐”
“ 347을 거꾸로 이야기 해 보세요”
“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라는 속담이 무엇을 뜻하느냐”
“ 카드를 종류와 번호에 다라 정리해보세요”
7. 동공검사
1. 크기
- mm 단위로 기록. pinpoint, small, midposition, large, dilated 등의 서술, 만약 ovoid pupil(타원형)의 경우 긴쪽의 길이를 기준으로 크기를 기록함.
2. 동공의 모양
- Round, ovoid, key hole, irregular

대표사진 삭제
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.
3. 좌우비교
- isocoria(양쪽 같은 것), anisocoria(양쪽 다른 것)
4. 대광반사
- direct/indirect reflex, 대광반사는 광자극이 안신경을 통해 감수되며(afferented) 동안신경 내에 포함된 부교감 신경을 통해 동공 수축반응을 나타낸다.(efferented)
- prompt -> 빛을 비추면 신속하게 바로 줄어듦
- sluggish -> 빛에 줄어들긴 하나 속도가 느림
- hippus -> 빛을 가한 수 동공이 커졌다 줄어든다.
- fix -> 빛 반응이 없음.
8. Limb movement
5점 - normal power, 걸어다니고 힘이 다 있다.
4점 - 약간 약한 정도(머리가지 팔을 들어 올리고 미는 힘이 있음)
3점 - 중력에 대항해 사지를 들 수 있다. (팔꿈치, 발꿈치를 3초 정도 이상 들어올림)
2점 - 사지를 움직이거나 중력을 견디지 못한다.(끄는 정도)
1점 - 근육수축(flickering)
0점 - 없음.
9. 소뇌기능 검사
1) 손가락 코 검사(finger to nose test)
- 두 번째 손가락으로 코를 만져 보라고 요청하여 검사한다. 눈을 감거나 뜬 상태에서 이루어 지며 천천히 시행된다. 만약 결과가 불분명하면 여러 번 빠른 속도로 반복해 볼 수 있다. 소뇌 병변시 진전이 나타나서 교에 가까울수록 거칠게 되어 표적을 넘겨짚게 되고 힘과 속도가 지나쳐서 이를 바로잡으려 더 거친 운동을 하게 된다.
- 간호사의 손가락을 여러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환자의 두 번째 손가락으로 코를 만지고 간호사의 손가락을 만져보게 한다.
2) 회외 회전-회내 회점 검사(rapid hand movement)
- 팔을 앞으로 냄리어 손을 앞 뒤로 뒤집는다. 이 동작은 같은 각도로 이루어 져야 하며 부드럽고 잘 유지된 리듬으로 이루어 진다. 이 검사는 눈을 감거나 뜬 상태로 이루어 지며 흔들림 없이 이루어져야 한다.
3) 발꿈치 정강이 검사(heel to shin test)
- 왼쪽 발꿈치를 오른쪽 무릎에서부터 정강이를 따라 똑바로 내려가도록 지시한다.

사진 삭제
10. Brain의 기능적 해부
1) cerebrum
- 대뇌 반구, 시상, 시상하부, 기저핵으로 구성, 후각신경, 시신경이 위치
2) brain stem
- 중뇌, 뇌교, 연수
3) cerebellum
4) fossa
- anterior fossa : 전두엽
- middle fossa : 측두엽, 두정엽, 후두엽
- posterior fossa : brain stem cerebellum

사진 삭제
https://www.neuroskills.com/images/graphic-brain-map-large.png
11. Frontal lobe의 기능
1) 운동영역
- 수의 운동을 일으키는 자극을 일으킨다. 신체의 반대편의 근육운동 주관. Giant Betz cell이나 pyramidal cell이 있어서 motor Fx을 조절
- 파괴시 flaccid(축 늘어진), paresis(불완전마비, 진행마비), paralysis, Jackson epilepsy(부분발작)
2) 전운동영역
- 몸 반대편의 부전 마비나 와전마비, 파괴시 미세한 수의적 운동이 불가능
3) frontal motor eye field
- 안구의 수의적 운동에 관여하여 자극시 conjugate deviation(반대편으로 강하고 빠른 편시)가 나타난다.
4) motor speech area
- broca's area 파괴시 운동성 실어증(이해하고 의미파악은 되지만, 말하는 것이 어렵다.), 자극시 다변증(병적으로 말을 몹시 많이하는 증상)이나 slow speech가 나타남.
5) Frontal association area
- association fiber에 의해 체감, 시각, 청각 그리고 다른 감각기관 영역과 관련, projection fiber(투사섬유)에 의해 시상과 시상하부와 연결. 고도의 지적 및 정신기능을 지배. 파괴시 치매나 추상적 사고의 억제와 관련되어 이 기능의 상실에 의해 지능의 퇴와, 성격이나 인격의 변화가 옴.
12. Parietal lobe의 기능
1) 체성감각영역
- central fissure 뒤에 위치. 촉각, 압각, 위치각을 받는 중추. 자극시 반대 편의 parasthesia(감각이상)
2) sensory association
- 체성 감각영역에서 받은 자극을 분석, 분석 결과를 시상이나 다른 대뇌피질로 보냄.
3) inferior parietal lobe
- assocation area로 병변시 임상증상은 다양하며 관절위치, 수동적 운동, 공간 위치 감각의 장애(Romberg's sign)
13. Temporal lobe의 기능
1) 청각 수용 영역
2) auditory association area
- superior temporal gyrus에 위치. Wernicke's area, 장애시 감각성 실어증(말은 잘하는데 질문을 이해를 못함)
3) interpretive area
- 측두엽의 supramarginal, angular gyrus에 위치, 두정엽, 측두엽, 후두엽이 만나는 lateral fissure의 접합부.
- 체성 감각, 청각, 시각을 통합해 주는 역할, 대뇌피질 전영역의 통합기능.
- 과거의 기억 경험 대화, 예술적 기술, 음악 등에 대한 다양한 기억
- 성인은 손상시에 지적기능의 장애가 있으나 6세 이하 소아는 반대편의 lobe이 발달하여 손상이 없다.
-시방선은 측두엽을 통과하게 되는데 측두엽의 병변으로 시야장애도 생길 수 있고 자극으로 환시도 생긴다.
14. Occipital lobe의 기능
1) visual area
- 시각을 수용하는 곳으로 색깔, 크기, 형태, 움직임, 밝기, 투명도 등을 느끼고 결정하는중추
2) Visual association area
- visual area에서 자극을 받고 해석, 인식하는 중추, 물건을 보아도 인식하지 못하는 visual agnosis(시각실인증)가 생긴다.